제1994장
이천후는 가슴이 철렁 내려앉았다. 저 덩어리는 대체 무엇이기에 이토록 강력한 수단으로 봉인해야 했던 걸까?
저것이 절대적인 마왕이라면 이해할 수 있겠지만 아직 태아 상태에 불과한 존재 아닌가.
그리고 이어진 발견은 이천후를 더욱 경악하게 만들었다.
그는 혈육 덩어리의 한가운데에 순백의 돌이 박혀 있는 것을 발견했다. 그 돌은 끊임없이 승룡액을 흡수하면서 마치 심장처럼 규칙적으로 뛰었고 승룡액을 정제하여 순수한 에너지로 변환한 뒤 혈육에 공급하고 있었다. 마치 피를 펌프질하듯 끝없이 영양과 힘을 공급하는 모습이었다.
하지만 이천후가 경악한 것은 돌의 기능 때문이 아니었다. 그 자체가 가진 위압적인 존재감 때문이었다.
비록 엄지손톱 크기에 불과하지만 그 돌에서 풍기는 기운은 우주보다 광대하고 무수한 세계를 품고 있는 듯한 느낌이었다.
자세히 들여다보니 돌에서 실오라기 같은 희미한 백색 기운이 뿜어져 나오고 있었는데 그 기운은 상상을 초월할 정도로 강력한 생명력을 품고 있었다. 마치 저 한 가닥의 기운만으로도 새로운 세계를 창조할 수 있을 것만 같았다.
“이건... 모태석이야!”
이천후는 경악하며 소리쳤다.
그는 예전에 만물의 생성수, 만물의 근원적 기운, 그리고 현황이기 같은 태초의 원시 물질들을 본 적이 있었다. 그런 경험을 통해 이 돌의 정체를 단번에 알아볼 수 있었다.
모태석이란 태초의 창조 물질 중 하나로 그야말로 ‘위대함’이라는 단어 외에 달리 표현할 길이 없었다. 창세의 순간부터 존재하던 이 물질은 세계를 잉태하고 만물을 창조할 수 있는 원천이었다.
수련계에서 이런 존재들은 ‘원물’이라 불렸다. 그리고 모태석은 원물 중에서도 가장 위대한 존재로 꼽혔다.
희귀하고 강력한 모태석은 제병을 만드는 재료로도 쓰일 수 있었으며 모태석으로 만들어진 무기는 단연 최강의 제병이었다.
이런 무기에는 특유의 능력이 있는데 바로 ‘모화’라는 것이었다.
어떤 물체든 모태석에 닿으면 순식간에 기체로 변해 사라진다. 사람과 싸울 때 모태석 병기에 맞으면 즉시 산화하여 흔적도 없

링크를 복사하려면 클릭하세요
더 많은 재미있는 컨텐츠를 보려면 웹픽을 다운받으세요.
카메라로 스캔하거나 링크를 복사하여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여세요.
카메라로 스캔하거나 링크를 복사하여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여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