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374화
할머니와 원경릉
정후는 큰 마님이 자신의 말을 분명 듣지 못하고 손씨 아주머니에게 준비를 분부했다고 생각했다.
하지만 큰 마님이 분명 자신의 앞날을 생각해 주실 거라 믿고, 괜히 신신당부할 필요 없다고 여기고 인사를 하고 나갔다.
정후의 생각이 딱 들어 맞았다.
우문호는 정후부 사람이 원경릉을 만나지 못하게 했으나, 원경릉이 할머니에겐만은 신경 쓰는 것을 알고 있고, 원경릉의 할머니인 큰 마님이 아프신 와중에 직접 오셨 다니 만나지 않게 할 방도가 없다.
초왕이 친히 나가서 모시고 와서 공손하게 예를 올리고 할머님이란 존칭을 사용했다.
큰 마님은 현주 출신으로 예의 범절을 잘 알고 있어 우문호의 손을 잡아 말리며: “왕야, 어서 일어나세요. 할머니라니요.”
초왕의 할머니는 사실 현재의 태후마마로, 만약 좀더 친근한 사이였으면 이런 것에 얽매이지 않아도 될 텐데 예의로는 이렇게 하는 게 합당하니 잘못됐다고 할 수도 없다.
사양의 말이 나오기 전에 우문호가 먼저 인사를 올려서 큰 마님도 뭐라 다시 말하기 어려운 게 자칫하면 눈치 없는 꼴이 되기 때문이다.
우문호가 웃으며 들어오시라고 하고 원경릉은 할머니가 오셨다는 말을 듣고 일어나려고 했다.
우문호가 서둘러 가서 막으며, “일어나지 마. 누워있어도 돼, 할머니가 어려운 분도 아니고.”
원경릉이 투덜거리며, “누워있느라 허리가 끊어질 거 같아.”
“있다가 허리 주물러 줄게. 우선 큰 마님이랑 애기 나눠, 난 관아에 좀 다녀올 게.”
정후부 인물 중에 우문호가 싫어하지 않는 사람이 있다면 바로 큰 마님이다.
그래서 큰 마님이 오셨으니 안심하고 할머니와 손녀가 얘기 나누게 하려는 배려다. 만약 자신이 초왕부에 있으면서 두 사람과 같이 있지 않으면 모양세가 좋지 못하니, 이 참에 관아에 다녀올 생각인 것이다.
원경릉은 우문호가 자리를 비키길 간절히 바랬다. 꼬박 이틀을 삼엄하게 주시하는 우문호의 눈빛을 받으며 누워 있었더니 미쳐버릴 지경이기 때문이다.
우문호가 가고 큰 마님은 침대 곁에 앉아 심지어 만족한 표정으로:
링크를 복사하려면 클릭하세요
더 많은 재미있는 컨텐츠를 보려면 웹픽을 다운받으세요.
카메라로 스캔하거나 링크를 복사하여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여세요.
카메라로 스캔하거나 링크를 복사하여 모바일 브라우저에서 여세요.